왜 사업장 전기요금은 비쌀까?
식당, 카페, 공장, 창고, 학원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장은 전기를 다량으로 사용합니다. 이때 적용되는 것이 바로 ‘산업용 전기요금 체계’입니다. 가정용과 달리 누진제는 없지만, 시간대별 요금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기사용 패턴에 따라 전기요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특히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의 경우 전기요금이 고정비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, 이를 전략적으로 줄이는 것이 곧 사업장의 비용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입니다.
산업용 전기요금 체계 기본 구조 (2025년 기준)
산업용 전기요금은 크게 ‘고압’과 ‘저압’으로 나뉩니다.
- 산업용 고압(을): 대형 공장, 제조업체, 대형 매장 등
- 산업용 저압(을): 음식점, 소형 공장, 카페, 세탁소, 학원 등
이 요금제에는 계절별·시간대별 차등 요금제(TOU: Time Of Use)가 적용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같은 양의 전기를 사용하더라도, 언제 사용했느냐에 따라 요금이 2~3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시간대별 전기요금 비교표
시간대 | 정의 | 평균 단가 (원/kWh) |
---|---|---|
경부하 | 야간 (23:00~09:00) | 60~90원 |
중간부하 | 주간/비피크 (09:00~10:00, 12:00~17:00 등) | 100~150원 |
최대부하 | 하절기 피크 시간 (10:00~12:00, 17:00~20:00) | 180~250원 |
팁: 동일한 전력 사용량이라도 경부하 시간대 사용 비중이 높을수록 전기요금이 절감됩니다.
사업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전기요금 절감 노하우 7가지
- 1. 에너지 사용 시간대 조정
고출력 기계는 경부하 시간(야간, 새벽)에 가동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 예: 제빵기, 냉동기, 공조장치 등 - 2. 스마트계량기(AMI) 활용
한전에서 제공하는 AMI를 설치하면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이 가능하고, 요금 예측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습니다. - 3. 피크타임 전력 집중 방지
하절기 오후 시간대(10시~12시, 17시~20시)는 단가가 높습니다. 이때 전기오븐, 냉동기, 전기히터 등 고출력 장비 가동은 피하세요. - 4. 냉난방기기 설정 최적화
냉방은 26~27℃, 난방은 20℃ 이하 설정, 필터 정기 청소로 효율을 높이고 전력 소비를 줄이세요. - 5. 조명 LED 교체
사업장 조명을 LED로 전면 교체 시 최대 50%까지 조명 전력 절약 가능. 특히 오래된 형광등은 전기 먹는 하마입니다. - 6.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구축
영업 종료 후에도 전자기기 대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멀티탭 일괄 차단 또는 스마트 콘센트 도입을 추천합니다. - 7. 전기요금 상담 서비스 활용
한국전력은 중소기업·소상공인 대상 전기요금 컨설팅을 무료 제공하고 있으며, 감면 가능 여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정부·지자체 에너지 절감 지원 제도 (2025년)
- 에너지 효율 개선 지원 사업: 고효율 기기 도입 시 일부 비용 보조
- 소상공인 에너지바우처: 요건 충족 시 전기요금 일부 지원
- 탄소중립설비 융자제도: 냉방/난방/조명 고효율 설비 교체 시 저리 융자 제공
신청 방법: 에너지공단, 중소벤처기업부, 한국전력 홈페이지 및 지역 에너지센터에서 확인 가능
마무리: 비용을 아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‘에너지 전략’
전기요금은 단순한 고정비가 아니라, 관리와 분석을 통해 절감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. 특히 산업용 전기요금은 시간대와 사용 패턴에 따라 변화폭이 크기 때문에, 전력 사용의 전략적 관리가 곧 비용 절감으로 이어집니다.
지금부터라도 사업장 내 전기 사용을 점검하고, 실천 가능한 절약 전략부터 하나씩 도입해 보세요. 전기요금 절약은 곧 수익입니다.